국제 프레온가스 감시 연구 통했다…중국발 농도 급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씨제이켐 작성일21-02-16 09:45 조회1,306회관련링크
본문
몬트리올의정서로 프레온가스 금지했어도 2013년 이후 증가세 예상 뛰어넘어 긴장
국제연구팀 “중국 연간 7천t 배출” 논문에 규제 들어간 듯 2019년 프레온가스 급감
1989년 몬트리올의정서에 따라 2010년부터 오존층 파괴 물질인 프레온가스 생산을 금지했음에도 2013년께부터 오히려 대기 중 농도 감소 속도가 현저히 떨어지자 과학계는 긴장했다. 지난해 5월 국내 연구진을 포함한 국제연구팀은 '범인'으로 중국을 지목하는 논문을 과학저널 <네이처>에 발표했다. 중국 동부 지역에서 2013년부터 프레온가스가 한해 7천톤씩 배출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는데, 이런 국제 감시 연구 덕분에 중국발 프레온가스 배출이 최근 급감한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국립해양대기청(NOAA) 연구팀 등 국제공동연구팀은 “2019년 세계 프레온가스 배출은 2008∼2012년 평균치에 근접하는 수준으로 급감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과학저널 <네이처> 10일(현지시각)치에 게재했다.
몬트리올의정서는 대기 중 프레온가스 같은 오존층 파괴 물질의 농도를 줄임으로써 오존층을 보호하기 위해 발효됐다. 프레온가스는 성층권에서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면 염소 원자가 오존을 산화시켜 산소로 되돌아가게 해 오존 구멍의 원인이 된다. 냉장고와 에어컨 냉매, 스프레이, 소화기 분무제 등에 쓰이던 프레온가스는 지금은 생산과 사용이 금지돼 있다.
연구팀은 국립해양대기청과 국제대기가스관측망(AGAGE) 등 2개 연구조직에서 관찰한 결과를 토대로, 2018년 후반기 이후 대기 중 프레온가스의 감소 속도가 빨라졌다고 보고했다. 2018~2019년 세계 프레온가스 배출량은 1만8천톤까지 줄어들어, 2019년의 연간 배출량이 5만2천톤에 머물렀다. 이는 2008~2012년 기간의 연평균 배출량(7만2천톤)과 비슷한 수준이다.
경북대 연구팀, 제주 고산관측소 등에서 측정
또 다른 국제공동연구팀은 “2014∼2017년 크게 증가했던 중국 동부 지역의 프레온가스 배출량이 근래 들어 연평균 1만톤까지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는 내용의 논문을 <네이처> 같은날치에 게재했다. 논문은 “2019년에는 약 5천톤까지 줄어들었는데 이는 세계 감소치의 60%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논문 작성에는 지난해 <네이처>에 중국발 프레온가스 증가를 보고했던 박선영 경북대 지구시스템과학부 교수와 영국 브리스톨대 연구팀 등이 참여했다. 연구팀은 이번에도 제주도 고산에 있는 국제대기가스관측망 관측소와 일본 최남단 하테루마섬의 국립환경연구소 관측소에서 중국 동부의 산둥성, 안후이성, 허베이성(베이징·톈진), 장쑤성(상하이), 랴오닝성, 저장성 지역에서 배출되는 프레온가스를 측정했다.
이들 지역에서는 드라이클리닝 약품·소화제 등에 쓰이는 사염화탄소와 냉각·냉동제나 에어로졸 분무제 등에 쓰이는 다이클로로다이플루오로메테인의 배출이 2013년 이후 매우 높아졌다. 하지만 최근 1~2년 전부터 감소세로 돌아섰다.
연구팀은 세계적으로 프레온가스 생산 금지 조처가 내려진 이후에도 중국 동부지역에서는 프레온가스 생산이 계속됐으나 2017년 이후 생산이 줄어든 것으로 해석했다. 연구팀은 “중국 동부지역의 2019년 프레온가스 뱅크(생산됐지만 아직 배출되지 않은 양) 규모가 최근 생산 때문에 2013년 이전 수준보다 11만2천톤까지 커진 것으로 추산된다”며 “그런데도 국제연구팀의 시의적절한 연구보고와 이에 따른 중국 정부와 산업계의 대응 덕분에 오존층 회복의 심각한 지연은 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출처 -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982711.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