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컴

본문 바로가기



CUSTOMER
1644-9269
031-364-8867
P. 010-7601-4341
문자상담문의

매스컴

세척공정서 사용하는 ‘트리클로로메탄’, 노동자 목숨 위협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씨제이켐 작성일25-01-09 10:21 조회40회

본문

 

유해인자 노출 종사자의 건강 책임지는 ‘특수건강진단’···선택 아닌 필수

최근 세척공정 사업장에서 유해 물질로 인한 급성중독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노동자들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급성중독을 일으키는 공업용 세척제는 일상에서 사용하는 세제와 달리 전자부품 제조 과정에서 제품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학약품으로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한다.

세척제에 함유된 트리클로로메탄에 잘못 노출되면 중추신경계 장애, 간·신장 손상 등이 나타나며 심각할 경우 급성중독으로 사망할 수 있다. 하루 8시간 이상을 일하는 작업환경은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만큼, 유해인자 노출 위험이 높은 노동자들은 직업성 질환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정기적으로 특수건강진단을 받아야 한다.

세척제 취급공정서 사용하는 트리클로로메탄···독성간염 급성중독으로 이어져 노동자 목숨 위협

공업용 세척제는 산업 전자부품 제조업체와 분체 도장 사업장 등에서 세척 공정을 위해 흔히 사용하는 소재다. 사업장 노동자는 물론 소비자와 생태계 전반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화학물질로, 일명 ‘독성 세척제’로도 불린다.

공업용 세척제에 노출될 경우 피부건조, 충혈, 홍반, 수포형성 등 피부 발진부터 중추신경계 억제로 무의식이나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고, 간수치 상승으로 황달이나 간비대는 물론 심할 경우 목숨까지 위태로워질 수 있다.

이에 세척제 제조업체와 취급 사업장은 화학물질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물질안전보건자료(MSDS, Material Safety Data Sheets)를 정확히 작성하고, 안전성을 적절히 판단해 세척제를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주 세척제로 사용하던 디클로로메탄과 염화메틸렌, 메틸클로라이드 등이 2020년부터 환경규제 물질로 지정됨에 따라 사용이 규제되자, 일부 사업장에서는 해당 물질을 비밀리에 사용하거나 대체물질로 독성이 더욱 강한 ‘트리클로로메탄(클로로포름)’을 사용하는 실정이다.

실제로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2~3월에는 경남지역에서 트리클로로메탄 노출로 인한 집단 독성중독 중대재해사고가 발생했으며, 올해 3월 경기도 이천시 소재의 전자부품 제조업체에서도 노동자 7명이 독성간염 급성중독으로 치료를 받았다.

지속해서 증가하는 세척제 취급공정 급성중독 사례에 국가는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노동자에 대한 특수건강진단을 주기적으로 실시하도록 규정했으며,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국소배기 장치 등 안전보건조치 없이 트리클로로메탄을 함유한 세척제를 사용한 작업은 중단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유해환경 노동자의 건강을 책임지는 ‘특수건강진단’···선택 아닌 필수

가장 큰 문제는 세척제 취급공정에서 비일비재하게 독성간염 중독 사태가 발생하지만, 정작 사업장 관리자와 유해인자 노출 현장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경각심이 부족하다. 전국에서 사업체와 노동자 수가 가장 많은 경기도에서 특수건강진단을 받는 수검자가 전체의 8% 수준에 불과하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특수건강진단은 산업안전보건법 제130조에 규정된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노동자가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건강검진으로, 사업주가 비용을 부담하기 때문에 직원의 부담은 없다.

사진=특수건강검진

유해인자 노출에 의한 노동자의 직업성 질환을 조기에 찾아내 적절한 사후관리 또는 치료를 신속히 받도록 함으로써 노동자의 건강을 유지·보호할 수 있다. 주요 검진 대상자는 화학적 인자(164종), 분진(7종), 물리적 인자(8종), 야간작업(2종)의 유해인자에 노출되는 업무 종사자로, 세척제 취급공정에서 근무하는 노동자도 포함된다.

특히, 독성간염은 대부분의 경우 겉으로 증상이 나타나지 않다가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으로 간기능검사를 통해서만 확인이 가능하기에 세척제 취급공정 노동자에게 특수건강진단은 필수적이다.

이에 GC녹십자의료재단은 다양한 직업성 유해인자 노출 업종 근로자들이 정확한 특수건강진단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지난해 특수건강진단센터를 열고 생물학적 노출지표검사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최정애 GC녹십자의료재단 직업환경의학센터 센터장은 “유해인자 접촉 우려가 높은 사업장은 노동자들의 건강 유지를 위해 반드시 화학물질의 상세 정보를 파악해 노동자들에게 유해성에 대한 충분한 안내와 적절한 보호구 착용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며, 정기적으로 특수건강진단을 진행해야 한다”며 “많은 노동자가 특수건강진단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지속적인 검진을 통해 직업성 질환을 선제적으로 발견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 리얼뉴스(https://www.realnews.co.kr) 


문자상담문의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